네덜란드 생활/나의 이야기

대도시 농업에서의 시스템혁신 <아그로파크>

seoyeoul 2010. 12. 9. 19:04

대도시 농업에서의 시스템혁신 <아그로파크>

 

Bert Harms, Madelein van Mansteld, Peter Smeets

Alterra, Wageningen UR. Netherlands

 

 

  아그로파크(agropark)는 농업기능과 관련 경제활동을 공간적으로 묶은 것이다.  이는 고수익성 동 식물 생산과 가공을 고도 지식과 기술 투입이 연계된 산업형태로 함께 끌어들인다.  물과 광물, 가스순환이 기술적으로 밀폐되고 화석에너지의 사용이 최소화되며, 부분적으로는 쓰레기와 부산물의 다양한 흐름을 가공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그로파크는 산업적인 형태학을 농업부분에 적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디자인 과정의 결과물로서, 글로벌 네트워크에서 기능하는 농업과 동일농장의 지역환경 사이에 새로운 균형이 추구된다.  그것은 시스템 혁신이 되는데, 단순히 농업생산 그 자체의 혁신 뿐만이 아니라 관계되는 이해 당사자들 사이의 다른 관계들의 혁신이기도 하다.  이 점에  관해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이 중심이고, 환경오염의 감소와 보다 큰 경제적 수익, 관계인들을 위한 보다 나은 작업 및 생활 여건과 동시에 연계되는 한 세트의 목표를 가진다.

 

  아그로파크의 개발은 세계의 대도시와 연계된 현상이다.  농업생산은 현재 잘 조화된 체인속에서 이루어지고, 이 체인들은 아그로파크 개발의 핵심인 네트워크로 묶는 것이다.  농업분야는 보통 많은 생산물을 갖는다. 전통적인 식품생산은 물론, 꽃, 방향물질, 풍미 등과 같은 고급 생산물과 산업재료, 에너지, 의약재 등이 포함된다.

 

  대도시 농업은 네트워크 사회(생산자, 분야, 재료, 에너지 흐름, 쓰레기 흐름 사이 또는 이해 당사자간이나 그들 가치시스템 사이의) 고유의 새롭고 지적인 연결을 통화여 구성되는 야심찬 농업생산 스스템으로 정의된다.

 

  지속가능한 기초위에 도시화된 사람들의 변화와 경쟁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사회이다.

 

  아그로파크 개념은 네덜란드, 인도, 중국에서 상이한 적용사례를 살펴봄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이 들 경험을 토대로 다음의 결론 도출이 가능하다.

 

1. 지식 주도 시스템 혁신으로서 아그로파크는 단위 산물 및 공간당 더 낮은 비용, 보다 높은 부가가치, 보다 낮은  환경오염의 전망을 제공한다.

 

2. 아그로파크는 세계적 규모의 지적 농업물류 네트워크(Intelligent Agrologistic Networks)와 지역규모의 경관 모두에서 종합 디자인의 기초위에서만 달성이 가능하다.

 

3. 아그로파크와 같은 시스템혁신의 디자인과 수행은 지식연구소, 정부, NGO, 기업의 참여와 긍정적인 종합 지속가능성의 이해를 필요로 한다.  그것은 범 학문적 과정으로서 그 속에 연구소의 분명한 지식과 다른 파트너의 말없는 지식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과정속에서 개발된다.

 

4. 아그로파크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한다.